2025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과 신청 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5년에 달라진 근로장려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근로장려금은 열심히 일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로,
매년 신청 시즌이 되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시죠.
특히 2025년에는 몇 가지 변화가 있어서 꼭 확인하고 혜택을 챙기셔야 할 것 같아요.
그럼 지금부터 신청 조건, 방법, 그리고 지급 시기까지 하나씩 파헤쳐 보겠습니다!
근로장려금, 어떤 제도일까?
근로장려금은 저소득 근로자, 사업자(일부 전문직 제외), 종교인 가구의 실질 소득을 높이고 근로 의욕을 북돋기 위해 만들어진 정책이에요. 2009년 아시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도입된 이래, 매년 많은 가구가 이 혜택을 받고 있죠.
지원 금액은 가구 유형에 따라 다른데요:
- 단독 가구: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 원
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최대 금액을 받을 수 있으니, 본인의 소득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미리 체크해보는 게 중요해요!
2025년 근로장려금, 뭐가 달라졌나?
2025년 근로장려금의 주요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 기준 상한선: 특히 맞벌이 가구의 경우, 연 소득 기준이 상향되었습니다.
- 단독 가구: 2,200만 원 미만
- 홑벌이 가구: 3,200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4,400만 원 미만
- 재산 요건: 가구원 전체 재산 합계 2억 4천만 원 미만으로 유지됩니다.
- 재산이 1억 7천만 원 이상 2억 4천만 원 미만이라면 장려금의 50%만 지급됩니다.
- 장애인 직계존속 부양 시 혜택: 장애인 직계존속을 부양하는 경우, 동거 요건이 면제되어 홑벌이 가구의 지원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장애인이라 요양 시설에 계시더라도 부양 가족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자격, 나는 될까?
근로장려금을 받으려면 아래 조건들을 충족해야 합니다:
- 소득 요건: 2024년 부부 합산 총소득이 위에 언급한 기준 미만이어야 합니다.
- 재산 요건: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전체 재산(주택, 토지, 예금 등 합산)이 2억 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 가구 요건:
- 단독 가구: 배우자, 부양 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경우
- 홑벌이 가구: 배우자나 부양 자녀(18세 미만, 소득 100만 원 이하),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경우
- 맞벌이 가구: 부부 모두 총급여 또는 사업소득이 300만 원 이상인 경우
제외 대상
- 일부 전문직 사업자(변호사, 의사, 회계사 등)
- 2024년 12월 31일 기준 대한민국 국적이 없는 경우(단, 국적 있는 배우자나 부양자녀가 있다면 예외)
2025년 신청 일정과 방법
근로장려금은 정기 신청과 반기 신청 두 가지 방식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정기 신청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지급 시기: 2025년 9월 말
반기 신청
- 상반기분:
- 신청: 2024년 9월 1일 ~ 9월 15일
- 지급: 2024년 12월 중(연간 예상액의 35%)
- 하반기분:
- 신청: 2025년 3월 1일 ~ 3월 15일
- 정산: 2025년 6월 중(나머지 금액)
신청 방법
- 모바일 손택스: 국세청 손택스 앱에서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메뉴를 통해 쉽게 신청 가능
- 홈택스: PC에서 홈택스(www.hometax.go.kr) 접속 후 신청
- ARS 전화: 1544-9944로 전화해 음성 안내에 따라 진행
- 세무서 방문: 전자기기 사용이 어려운 분들은 가까운 세무서에서 도움받을 수 있어요
특히 국세청에서 안내문을 받으신 분들은 개별 인증번호로 더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니, 우편함을 잘 확인해보세요!
지급 시 유의할 점
- 반기 신청 선택 시 상반기분은 연간 예상액의 35%가 지급되고, 하반기 정산 시 나머지가 지급되거나 초과분은 환수될 수 있습니다.
- 체납 세금이 있다면 장려금에서 일부 공제될 수 있으니, 미리 국세 상황을 점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정기 신청 기한을 놓쳤다면 6월 1일 ~ 12월 2일(2025년) 동안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지만, 신청액의 5%가 감액됩니다.
마무리하며
2025년 근로장려금은 소득 기준 상향과 부양 요건 완화로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기회가 열렸어요.
본인이 대상자인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서 '모의 계산'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말고 꼭 챙기셔서 생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혹시 궁금한 점이나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올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기능검사, 집에서 간단히 해보는 방법 (4) | 2025.03.26 |
---|---|
2025 봄을 맞아 떠나는 여행, 환경까지 생각해볼까요? (2) | 2025.03.17 |
서울엄마아빠택시 (0) | 2025.02.26 |
서울시 반려식물병원 예약 방법 (1) | 2025.02.26 |
레몬즙 한 잔의 마법: 먹는 법부터 효능까지 완벽 정리 (3) | 2025.02.25 |